목차
산후우울증이란?
산후우울증은 산후 2주~3개월 이내에 발병하는 경우가 많은 우울증으로, 우울감, 불안감, 흥미와 즐거움의 상실, 불면증, 자책감, 기력 및 자기 평가의 저하 등의 증상이 2주 이상 지속되는 것을 말합니다.
심하면 사라지고 싶다는 생각에 자해나 자살 충동으로 이어지기도 합니다. 산후우울증은 산모와 아이 모두에게 심각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임신과 출산을 겪은 여성에게 주의가 필요한 질환 중 하나입니다.
산후우울증과 출산 후 우울증 차이점
산후우울증과 비슷한 질환으로 출산 후 우울증을 들 수 있습니다. 많은 여성들이 임신과 출산에 따른 호르몬의 급격한 변화, 출산 자체로 인한 스트레스와 피로 등으로 인해 어떤 정신적 변화를 경험하게 됩니다.
출산 후 약 30%의 여성이 경험하는 것으로 알려진 마터니티 블루스는 출산 후 2~5일 정도 눈물이 나거나 불안정한 기분, 우울감, 짜증 등을 경험합니다.
하지만 산후우울증과 달리, 출산 후 우울감은 일시적인 경우가 많아 1~2주 정도 지나면 자연적으로 완화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산후우울증은 생활과 육아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한 반면, 산후우울증은 큰 영향을 끼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산후우울증을 경험한 여성은 산후우울증 발병 위험도 높아진다고 합니다.
산후우울증 원인
산후우울증이 발병하는 요인으로는 정신질환의 기왕력 외에도 주변과 배우자의 지지 부족, 밤낮을 가리지 않는 육아로 인한 피로 누적, 야간 수유와 기저귀 교환 등으로 인한 수면 부족 등 육아 환경의 영향도 큰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산후우울증이 발병하는 사람은 임신 중에도 불안과 우울증의 징후가 나타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초기부터 주의 깊게 관리하고 주변에서 도움을 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산후우울증의 치료
산후우울증의 치료는 약물치료와 정신치료가 주를 이룹니다. 모유 수유를 하는 경우, 수유 중 약물 복용에 대한 거부감으로 진료를 망설이는 경우도 있습니다. 하지만 우울증 치료에는 약물치료의 장점도 크기 때문에 의사와 상의하여 모유 이행이 적은 약물을 선택하거나, 의사나 상담사의 상담을 통해 약물에 의존하지 않는 치료를 선택할 수도 있습니다.
특히 가사나 육아를 할 수 없게 되거나 자살 충동이 있는 경우 등은 조기에 정신과나 심리치료 내과 등 전문과를 찾는 것이 필요합니다.
'건강한오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달리기 운동 효과 알아보고 시작해요 (1) | 2023.10.23 |
---|---|
과민성대장증후군 원인 및 증상, 진단과 치료 알아봐요 (2) | 2023.10.23 |
고구마 영양성분 효능 및 보관방법 알아봐요 (1) | 2023.10.20 |
뇌졸중 전조증상 5가지 알아봤어요 (1) | 2023.10.20 |
눈에 좋은 영양소 3가지 루테인, 안토시아닌, 아스타잔틴 효과 알아봐요 (1) | 2023.10.19 |